티스토리 뷰
목차
오늘은 연봉 관련된 내용으로 포스팅 진행하려고 해요. 매년 연봉협상을 하게 되죠. 좀 오른 것 같아도 막상 실수령액을 확인해 보면 '이것밖에 안올랐네..' 하고 실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 적은 연봉때문에 퇴사충동도 받게 되구요. 실수령액은 왜 이렇게 적은 것 일까요? 다음 내용 확인해주세요!
2020년 평균 인상률은 5.3% 정도라고 합니다. 취업포탈 인쿠르트가 직장인 139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라고 합니다. 지난해보다 높지만, 대부분 직장인들은 만족을 하지 못하겠죠.
연봉 세금 구간
그렇다면 연봉 실수령액은 왜 이렇게 적을까요?
바로 연봉 세금 구간 때문입니다. 최저임금도 올랐고 연봉도 올랐지만 실수령액이 큰차이가 없는 이유는 바로 작년과 비교했을때 여러가지 보험료율이 인상되어 실수령액이 감소했기 때문입니다.
위 내용은 연봉 세금 구간에 대한 이미지 인데요. 과세표준 연봉에서 종합세득세율과 누진공제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연봉이 올라가면 올라갈 수록 종합소득세율과 누진공제액은 크게 느는 것을 볼 수가 있죠. 개정전에는 5억 초과시 40% 였는데 개정하고 42%가 되었습니다.
실수령액 계산기
다음은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 이용하는 방법입니다. 검색사이트에서 '연봉 실수령액 계산기' 라고 검색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시급, 연봉, 퇴직금, 실업급여를 기준으로 계산기를 이용할 수가 있구요. 하단에 보시면 월급 또는 연봉을 입력하고 비과세액, 부양가족수, 20세이하 자녀수를 입력하고 계산하기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.
200만원을 기준으로 해봤는데요. 국민연금, 건강보험, 고용보험, 근로소득세 등등. 세금을 다 고려해서 월 예상 실수령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어때요? 매우 간단하게 계산이 가능하죠?
이상 연봉 세금 구간과 실수령액 계산기 관련된 내용 알아봤습니다. 감사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