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탄소포인트-지급기준

    탄소포인트 지급

    1. 탄소포인트(인센티브) 지급기준
    2. 탄소포인트 계산
    3. 인센티브 종류

     

     

    탄소포인트 지급기준

    포인트 쌓는걸 좋아하는 분들이 많은데요. 카드 포인트를 적립하는 것 처럼 탄소포인트도 똑같습니다. 지급기준을 알고 있으면 적립해서 친환경제품을 구매하거나 재투자 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탄소포인트를 지급받기 위해서는 과거 에너지 사용량과 비교했을때 절감되어야 합니다. 가정을 기준으로 수도/전기/상하수도 등등. 매월 고지서를 보면 얼마나 사용했는지 알 수 있죠? 1, 2년 정도 통계(2년 사용량 통계를 낼수 없다면 1년으로 합니다)를 내어 월평균 사용량과 현재사용량을 비교해 감소비율에 따라서 포인트를 지급하게 됩니다. 

     

    탄소포인트제 신청방법

     

    개인 : 온실가스 감소률로 포인트를 연 2회 지급합니다.

     

    감축 인센티브 : 감소률 5% 이상 참여자 부여.

    감소률 상수도 전기 도시가스
    5 - 10% 750포인트 5,000포인트 3,000포인트
    10 - 15% 1,500포인트 10,000포인트 6,000포인트
    15% 이상 2,000포인트 15,000포인트 8,000포인트

     

    유지 인센티브 : 4회 이상 지속적 5% 이상 감축 인센티브를 받은 참여자가 0 - 5% 감소률 유지하면 부여.

    감소률 상수도 전기 도시가스
    0 - 5% 3,000포인트 450포인트 1,800포인트

     

     

    탄소포인트 계산

    탄소포인트 시뮬레이터 계산 해볼 수 있는 사이트 입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[ 사용량 - 환경정보 - 사용량분석 - 예상포인트 ] 절차에 따라서 받을 수 있는 탄소포인트 시뮬레이션 해볼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탄소포인트-시뮬레이터-사용량입력

    탄소포인트 인센티브 종류

    탄소포인트는 현금/상품권/종량제봉투/지방세납부/기부/교통카투/상장/공공시설이용바우처 형태로 사용가능.

    다양한 인센티브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. (본인과 연관된 지방자치단체의 인센티브 유형을 확인하고 1가지 선택)